검색어입력
아동권리 컬렉션
통합 검색
주제별 검색
시대별 검색
유형별 검색
아동권리 콘텐츠
아동권리
100
년사
시대로 보는 아동역사
아동권리이슈
아동기념일 주요행사
역사관 소개
소개
소장자료 안내
이용안내
열린 마당
공지사항
Q&A
기증안내
아동권리 컬렉션
통합 검색
주제별 검색
아동권리보장원
어린이날
아동기관
더보기 +
정책 및 법
이주 및 난민
입양
위탁
자립
실종
아동보호
권리
참여
영유아
초등
중등
저소득
장애
정신건강
신체건강
학대 · 폭력
학교밖
인물
다문화
한부모
기타
시대별 검색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일제강점기
미군정기(1945-1948)
대한민국(1948-)
유형별 검색
일반문서
단행본
논문
연속간행물
법령및협약
시청각자료
기타
아동권리 콘텐츠
아동권리
100
년사
아동권리
100
년사 e-book
분야별 전문서적
아동권리 연표
시대로 보는 아동역사
삼국시대의 아동
통일신라의 아동
고려의 아동
조선의 아동
일제감정기의 아동
미군정기(1945-1948)의 아동
대한민국(1948-)의 아동
아동권리이슈
국제동향
역사관 소개
소개
소장자료 안내
이용안내
열린 마당
공지사항
Q&A
기증안내
아동권리 콘텐츠
아동권리 콘텐츠
아동권리 100년사
아동권리 100년사 e-book
아동권리
100
년사
시대로 보는 아동 역사
아동권리 이슈
아동기념일 주요행사
아동권리
100
년사 e-book
분야별 전문서적
아동권리 연표
한국의 전통적 아동관
구한말 ~ 1922
민족운동과 아동의 발견
1923 ~ 1944
국가 재건과 아동권리
1945 ~ 1960
아동권리의 형성기
1961 ~ 1990
아동권리의 성장기
1991 ~ 2004
아동권리의 확산기
2005 ~
한국의 전통적 아동관
구한말 ~ 1922
본 연표는 대한민국 아동권리 100년사 분야별 전문서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1900
1801년
신유박해
1831년
로마 교황청, 조선교구 설립 결정
1852년
천주교 파리외방전도회 소속 신부들 파송
1854년
최초의 아동복지 사업 「영해회」 창설
1855년
우리나라 최초 가정위탁사업 조선영해회(성영회) 설립
1860년
최제우, 동학 창도
1879년
1879년 제생의원에서 「종두법(種痘法)」 시행
1882년
인현서당 설립
1882년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1882년
미국과 한국의 수호조약 체결
1882년
천주교 리델신부 1882년 「인현서당」 마련
1882년
혜민서(惠民署), 활인서(活人署) 폐지
1883년
인현서당 명동 이전, 「종현서당」으로 개칭 및 확장
1883년
최초의 근대적 사립학교 원산학사 설립
1884년
선교사 맥클레이, 고종으로부터 교육사업과 의료사업 허용
1884년
선교사 알렌 광혜원 설립
1884년
김옥균(金玉均), 치도약론(治道略論) 통해 환경위생사업 강조
1885년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선교사, 아동대상 교육 및 의료사업 실시
1885년
「제중원」 : 한국 최초의 근대적 의료기관
1885년
선교사 아펜젤러, 스크랜튼 의료선교사 집에서 학생 두 명 지도(「배재학당」의 시작)
1885년
선교사 스크랜튼& 미 북장로교 선교사 헤론 1885년 9월 민간진료소 개설
1885년
최시형의 사인여천 강론, 아동저널 창작 및 아동 대상의 계몽교육 전개
1885년
한국 최초 천주교 고아원 시작
1885년
광혜원(廣惠院) 설립
1886년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 서울 자택에서 여학생 한 명 수업 시작(이화학당의 모태),
1886년
고종, 「배재학당」 학교명 하사(최초의 근대식 중등교육기관)
1886년
최초의 근대적 공립학교 육영공원 설립
1886년
한불수호조약 체결
1886년
1886년 제중원 의학교 설립
1887년
고종 이화학당 교명 하사
1887년
1887년 국내 최초로 여성전문병원인 보구녀관(保救女館) 설치
1888년
1888년 구한말 최초의 유치원 원산유치원 설립
1894년
소학교(9월 1일)와 사범학교(10월 1일) 설립에 관한 고시문 공포
1894년
갑오경장
1894년
갑오개혁 실시(1905년 을사늑약 이전까지 약 10년간 서울에 9개의 관립 소학교와 지방에 109개 공립 소학교 설립)
1894년
내부아문(內部衙門) 위생국 설치, 경무청 총무국 위생경찰사무 실시
1895년
경남지역 최초의 여아교육기관인 「일신여학교」 개설(「미우라 고아원」이 전신)
1896년
1896년 「호구조사규칙」과 「호구조사세칙」 반포
1896년
혜중국 설치(무상 약 처방 및 치료)
1896년
서재필(徐載弼) 등의 독립협회 중심으로 위생계몽운동 발전
1897년
부산 최초 일본인 아동 대상 유치원 설립
1897년
뉴욕 점자 체계 조선에 적용
1898년
빈민구제기관 「진민소」 설립
1898년
민영환, 서울 근대사립학교 「흥화학교」 설립
1898년
평양에서 맹여아 위한 교육 사업 시작
1899년
전염병 예방 위한 「전염병예방규칙」 공포
1899년
서울 「훈맹학당」 설치
1900년
서울 남맹아 보호시설 설립
1901 ~ 1922
1901년
「혜민원」 설립
1903년
YMCA 창립
1903년
평양 남자맹인학교 설립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통감부 설치
1905년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
1905년
을사조약
1906년
「보통학교령」 제정
1906년
불교계 「명진학교」를 시작으로 「명화학교」와 「봉명학교」 설립
1906년
최초의 청소년 잡지 「소년한반도」 창간
1906년
성공회 「진명학교」 설립
1907년
1907년 12월 「오산학교」 설립
1907년
남자 17세, 여자 15세 이상이어야 혼인 허용
1907년
신민회 조직, 1913년 5월 홍사단 창설
1907년
학생의 신체검사 및 교의설정에 관한 칙령 공포
1907년
한국인 최초 경성고아원 설립
1908년
최남선 「소년 잡지」 창간
1908년
안창호와 윤치호가 중등교육기관인 「대성학교」 설립
1909년
「민적법」 제정
1909년
통감부 설치
1909년
농아교육 도입
1909년
지방 관립병원 자혜의원 설립
1910년
병합조약 공포 및 한국 국호 조선으로 개칭, 총독부 설치
1911년
「조선교육령」 공포, 우민화정책 시행
1912년
「조선민사령」 공포
1912년
최남선 「청춘(1914년)」 창간, 「어린이의 꿈」에서 어린이 용례 최초 사용
1912년
두창(=천연두) 및 호열자(虎列刺, =콜레라) 백신 생산 및 접종
1912년
제도적 입양 시작
1913년
제생원 맹아부 설치
1914년
이화유치원, 조선인 대상 최초 유치원 교육 실시
1914년
1차 세계대전 발발(1914년-1918년)
1915년
가정박람회에서 최초 아동 독립공간으로서 소아실 등장
1915년
1915년 「민적법」 개정으로 ‘가(家)’ 개념 도입
1915년
「전염병예방법」 등 위생관련 각종 법령과 규칙 제정 및 공포, 위생경찰제 도입 (1915년-1919년)
1918년
1918년 「폐결핵예방에 관한 건(조선총독부령 제4호)」 공포 및 정책 수행
1919년
남녀소년단이 파리강화회의에 「한국아동읍혈진정서」 제출
1919년
유관순과 사촌언니 유예도 등이 병천시장 만세시위 주도(3.1운동)
1919년
오긍선 박사 한국인 최초 경성보육원 설립
1919년
영국에서 영연방 아동구호재단(Save the Children Fund) 창설
1919년
신한청년당 조직, 2.8 독립선언 발표
1920년
「개벽」 창간
1920년
1920년 7월 「경성고아구제회」 조직
1920년
방정환이 「개벽」에 최초의 어린이 용어 사용
1920년
「조선여자교육회」 조직 및 여자야학 시작
1920년
보통학교와 중등학교 입학시험 실시, 취학 전 교육 법적 제도화
1921년
민법 통한 친권 적용
1921년
아동을 어린이로 지칭
1921년
천도교소년회 출범
1921년
여성 및 아동 매매 퇴치에 대한 국제 회의 권고
1921년
제2차 「조선민사령」 공포
1921년
1921년 「조선호적령」 공포 및 시행
1921년
이돈화가 「개벽」에 어린이 인권 보장과 보호 주장
1921년
학원부 「화광학교」 설립, 보육부 탁아사업 및 유치원 사업 실시
1921년
태화여자관이 「모자보건사업」 실시(우리나라 최초 지역사회복지사업)
1922년
2차 「조선교육령」 공포
1922년
천도교소년회 창립 1주년 기념 우리나라 최초 어린이날 선포 및 기념식 거행
민족운동과 아동의 발견
1923 ~ 1944
본 연표는 대한민국 아동권리 100년사 분야별 전문서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923 ~ 1929
1923년
천도교소년회 「어린이」잡지 창간. 1914년 최남선 「어린이의 꿈」에서 어린이 라는 단어 처음 사용
1923년
색동회 창립
1923년
천도교소년회 「소년운동협회」 결성
1923년
1923년 5월 1일 제1회 어린이날 기념행사 - 「소년운동의 기초조건」 발표(인류 보편성에서 기인한 아동인권 내용)
1923년
「호적령」 개정(출생아 부모 신고)
1923년
아동잡지 「어린이」 창간(1923) 및 어린이 용어 보편화
1923년
1923년 「조선교육령」 공포
1924년
조선 최초 「아기건강회」 개최
1924년
1924년 제네바 아동권리선언(Geneva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이하 제네바선언)
1924년
국제연맹 「아동권리선언」 채택
1926년
의사 류영준 「아동학대의 역사」 기고문 게재(시대일보)- 우리나라에서 아동학대 용어 최초로 발견된 신문 기사
1926년
중앙고보 6.10만세운동 주도
1926년
한국 최초의 어린이집 「부산공생원」 설립
1927년
1927년 5월 조선소년연합회 결성 및 어린이날 5월 첫째 일요일로 변경
1927년
「무산아동교습소」 개설(빈곤아동 대상)
1927년
보육모 육성 위한 보육학교 설립
1927년
윤치호 「공생원」 설립
1928년
조선총동맹 창립, 총 152개 단체 가입
1928년
최초의 여성 의료인 양성기관 「조선여자의학강습소」 설립
1929년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발생
1929년
전국 30여개 일반 및 종합병원 결핵퇴치사업 실시
1929년
경제대공황 발발(1929년-1939년)
1930 ~ 1944
1931년
어린이날 유아애호주간(幼兒愛好週間)으로 변경
1931년
보통학교 또한 학교 수 부족으로 만 7세 이상만 입학 허용
1931년
「보건운동사(保健運動社)」 설립, 「보건운동」 발간
1932년
1930년 ILO 강제노동협약 비준
1933년
일본의 「아동학대방지령」 제정•시행
1933년
「조선보건협회」, 「민중보건협회」, 「보건운동」 등 다양한 활동 전개
1933년
1933년 법률상 상속의 중심이었던 제사상속 도의상 제도로 격하(호주상속과 재산상속 유지)
1933년
경기도 최초 일제에 의한 관영 탁아소 설치
1935년
조선인 손정자가 최초 탁아소 설립
1936년
총독부 사회과 각도 17개부 인보관 및 부속 상설탁아소 설치
1937년
미나미 총독 「황국신민의 서사」 제정
1937년
1937년을 마지막으로 어린이날이 중단(1945년까지)
1937년
중일전쟁 발발
1937년
1937년 일제 탄압으로 우리 민족 소년운동 전면 금지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 공포
1938년
「국가총동원법」 공포
1938년
국민정신총동원연맹 결성 및 근로보국운동 전개
1939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1939년-1945년)
1941년
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 공포 및 소학교 명칭 국민학교로 개칭
1941년
후생국 설치
1942년
「조선소년령」 제정, 우리나라 최초의 소년원 「경성교정원」 개설
1942년
조선총독부 선감학원 설립
1943년
1943년 3월 「제4차 조선교육령」 공포
1944년
「학도근로령」 공포 및 「여자정신근로령」 공포・실시
1944년
「조선구호령」 공포
1944년
일제에 의해 『조선의료령(朝鮮醫療令)』 제정
국가 재건과 아동권리
1945 ~ 1960
본 연표는 대한민국 아동권리 100년사 분야별 전문서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945 ~ 1950
1945년
조선교육심의회 및 한국교육위원회 구성
1945년
1945년 11월 2일 미군정법령 제21호 반포
1945년
얄타회담 개최
1945년
「국민근로동원령」 시행(만12세 이상 남녀 강제노동 대상 규정)
1945년
광복
1945년
조선인민공화국 수립 선포
1945년
국립 맹아학교 설립
1946년
초등학교 규정 공포
1946년
선감학원을 부랑아 강제수용 시설로 사용
1946년
미군정 아동노동 금지 법령 공포
1946년
1946년 5월 5일 어린이날 기념식 재개최(매년 5월 5일 어린이날 지정) - 어린이날 노래 제정
1946년
1946년 조선임시과도정부의 교육령에 따른 6년제 시행
1947년
「미성년자 노동보호법」 공포
1947년
중학교 규정 공포
1947년
「아동복지법」 제정
1947년
이성양자 입양 재금지
1947년
1947년 초 아동노동법규 효력 잠정 중단
1948년
기독교아동복리회(CCF) 한국 아동구호 사역 시작
1948년
UN총회에서 세계인권선언 채택
1948년
서울지방법원 소년부지원 설치
1948년
「제헌헌법」 제정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1948년
결핵 퇴치 위한 BCG 백신 생산 및 접종 실시
1948년
사회부(보건, 후생, 노동, 주택 및 부녀문제 관장)' 신설
1948년
제1공화국 출범
1949년
최초 교육법 제정
1949년
보건부(국민보건, 위생, 의정, 방역 및 약정 관장) 신설
1949년
유아교육기관으로 유치원 법적 인정 (교육법)
1949년
이성양자제도 및 서양자제도 무효 판시
1950년
한국전쟁 발발(1950년-1953년)
1950년
한국정부 후생시설 설치기준 발표
1950년
의무교육 시행
1950년
전쟁 고아 및 혼혈아동 국외 입양(현대적 의미의 입양 시작)
1951 ~ 1960
1951년
초등생을 위한 『전시생활』 제공(전시 상황 교과서 부족 실태 타개)
1951년
한국보육원 탄생
1951년
「교육세법」 제정
1951년
「국민의료법」 제정
1951년
문교부 「전시 하 교육특별조치요강」 제정•발표
1952년
「교육법 시행령」 공포
1952년
보건사회부 한국아동복리위원회 구성
1952년
정부 1952년 「후생시설운영요령」 제정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
1953년
「여자와소년의 근로에 관한 근로기준법」 시행
1953년
14세 미만 미성년자 처벌 금지의 「형법」 제정
1953년
학교급식 실시
1954년
의무교육 완성 6개년계획(1954년-1959년) 수립
1954년
보건사회부 「한국아동양호회」 설립
1954년
세계 아동의 날 제정
1955년
「고아입양특례법안」 제정
1955년
보건부와 사회부가 보건사회부로 통합
1956년
1956년 법무부・내무부・보건사회부 합동 「부랑아 근절책 확립의 건」 발표
1957년
제35회 어린이날 기념행사에서 「대한민국 어린이헌장」 선포
1957년
기생충 구충사업 전개
1957년
보건사회부 부녀국 내 아동과 신설
1958년
「소년법」 제정
1958년
「민법」 제정
1958년
민법 제정
1958년
소아마비(폴리오) 백신 도입
1958년
보건사회부 전국주택설계현상모집에 아동실 고려
1958년
1958년 호주제 입법
1959년
UN아동권리 선언 채택, 1979년 UN이 정한 세계아동의 해로 선포
1959년
학교 내 양호실 설치
1959년
초등학교 의무교육 시행
1960년
민법전 제정
1960년
4•19 혁명
1960년
5•16군사혁명
1960년
「민법」 제정 및 서양자, 미성년 제도 도입
1960년
제2공화국 출범
1960년
「호적법」 공포
아동권리의 형성기
1961 ~ 1990
본 연표는 대한민국 아동권리 100년사 분야별 전문서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961 ~ 1970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
1961년
「교육세법」 폐지
1961년
「중․고등학교 및 대학의 입학에 관한 임시조치법」(법률 제681호) 제정
1961년
「보호시설에 있는 고아의 후견 직무에 관한 법률」 제정
1961년
「고아입양특례법」 제정
1961년
「미성년자보호법」 제정
1961년
「생활보호법」 제정
1962년
국립 교육대학 설치
1962년
보건사회부 거택구호사업 시작
1962년
「아동복리시설설치기준령」(보건사회부령 제92호, 1962.10.20 관보) 제정
1962년
정부의 5개년 경제개발계획 착수
1963년
산아제한(가족계획) 정책 실시
1963년
「보호시설에 있는 고아의 후견직무에 관한 법률」 제정
1963년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 제정」
1963년
「의료보험법」 제정
1963년
제3공화국 출범
1968년
국민교육헌장 선포
1969년
유치원교육과정 제정•공포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1971 ~ 1980
1971년
새마을운동 실시
1971년
중학교 무시험제도 전국적으로 실시
1972년
제1회 전국스포츠소년대회(現 전국소년체육대회) 개최
1972년
10월 유신으로 제4공화국 출범
1973년
교육상담, 생활지도, 정신건강 상담 실시
1973년
「모자보건법」 제정
1973년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어린이날이 기념일로 포함
1975년
어린이날, 법정 공휴일 지정
1976년
「입양특례법」 제정으로 「고아입양특례법」 폐지
1976년
유아교육 공교육화를 목표로 공립유치원 병설 운영 시작
1977년
「특수교육진흥법」(법률 제3053호) 제정
1977년
「민법」에서의 「가족법」 개정
1978년
인종차별철폐협약 가입
1979년
10·26사태
1979년
12·12 군사반란
1979년
UN에서 세계 아동의 해 선포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1981 ~ 1990
1981년
제5공화국 출범
1981년
「학교급식법」(법률 제3356호) 제정
1981년
「아동복리법」, 「아동복지법」으로 전면개정
1981년
우리나라 역사 최초 유아교육 강화방침 발표
1981년
「유아교육진흥법」 제정
1984년
여성차별철폐협약 비준
1985년
UN, 세계청소년의 해 제정•공포
1985년
중학교 무상 의무교육 실시
1986년
6•29선언에 따른 민주화 본격화
1986년
1986년 국외 입양 방지 조치
1986년
제10회 서울아시안게임 개최
1987년
「청소년육성법」 제정
1988년
체육부에 청소년국 설치
1988년
제24회 서울올림픽 개최
1988년
전국민의료보험 시행
1988년
청소년육성 5개년 계획 발표
1988년
대한민국 어린이헌장 선포
1989년
해외입양 전면중단 계획, 국내입양 활성화 모색, 가정위탁보호제 도입(1989년-1994년)
1989년
UN,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 협약 만장일치로 채택
1989년
「모자복지법」(약칭: 「한부모가족법」) 제정
1990년
대한민국 청소년헌장 선포
1990년
면접교섭권 도입
아동권리의 성장기
1991 ~ 2004
본 연표는 대한민국 아동권리 100년사 분야별 전문서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991 ~ 2000
1991년
아동권리협약 비준
1991년
「청소년기본법」 제정
1991년
「영유아보육법」 최초 제정
1992년
한국청소년기본계획 수립
1993년
제1차 청소년육성5개년계획(1993년-1997년) 발표
1994년
보건사회부 보건복지부로 개편
1995년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정
1995년
처벌금지협약 비준
1996년
우리나라 OECD에 가입
1996년
경제 위기
1996년
국외입양 쿼터제 도입
1996년
소아자폐진료소 개소
1997년
「가정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 제정
1997년
영유아보육법 개정- 무상보육 특례조항 신설
1997년
「교육법」이 「교육기본법」으로 대체 입법
1997년
IMF 외환위기 사태 발발
1997년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제정
1997년
「청소년보호법」 제정
1998년
제2차 청소년육성5개년계획(1998-2002년) 발표
1998년
「대한민국 청소년헌장」이 「새로운 청소년헌장」으로 개정
1999년
1999년 8월 24일 여성차별철폐협약 유보철회 통보
1999년
「사회교육법」을 「평생교육법」으로 법명 개정
1999년
국제 청소년의 날 제정
2000년
「아동복지법」이 개정 및 아동보호전문기관 설립
2000년
「청소년성보호법」 제정
2000년
유엔총회에서 「아동의 무력충돌 참여에 관한 선택의정서」 채택
2000년
유엔총회에서 「아동매매 성매매 아동포르노그라피에 관한 선택의정서」(OPSC) 채택
2000년
세계 아동학대 예방의 날 제정
2001 ~ 2004
2002년
UN아동특별총회 개최
2002년
정부에서 「어린이 보호·육성 종합대책」 마련
2002년
중학교 무상 의무교육 전국으로 확대
2002년
세계 아동노동 반대의 날 제정
2003년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03년-2007년, 제3차 청소년육성5개년계획)
2003년
「어린이 안전 종합대책」 추진
2003년
제1회 어린이 권리 주간(5월 1~7일)'으로 지정
2004년
「청소년복지지원법」 제정
2004년
전국 모든 시·도교육청별 학교폭력 부서 설치
2004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약칭: 학교폭력예방법)」과 「청소년활동진흥법(약칭: 청소년활동법)」 제정
2004년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 도입
2004년
「유아교육법」 제정
2004년
가정위탁의 날 제정
아동권리의 확산기
2005 ~
본 연표는 대한민국 아동권리 100년사 분야별 전문서에 기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05 ~ 2010
2005년
실종아동보호전문기관 설치
2005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 수립(5개년)
2005년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 기반 입양의 날 지정
2005년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2005년
실종아동전문기관 설립
2005년
법무부에 인권국 신설
2005년
보건복지부에 아동권리과 신설
2005년
「실종아동법」 제정
2005년
제1회 어린이 주간 선포
2005년
민법 개정- 호주제 폐지, 친양자 입양 제도 도입
2006~2010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06-2010)
2006년
「다문화가정 교육지원대책」 수립
2006년
아동자립지원단 설립
2007년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정
2007년
아동학대 예방의 날 제정
2010년
OECD DAC(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
2010 ~ 2020
2011년
「아동의 빈곤예방 및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정
2011년
0-2세 영유아 대상 무상보육 실시
2011년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제정
2011년
세계 여아의 날 제정
2012년
「난민법」 제정
2012년
중앙입양원 설립
2012년
주5일 수업제 전면 실시
2012년
청소년쉼터 신고제 도입
2012년
「학업중단숙려제」 실시
2013년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13년-2017년) 수립
2013년
누리과정 도입 및 무상지원
2013년
금치산ㆍ한정치산 제도가 폐지, 성년후견 제도 도입
2014년
「학교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2014년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조기발견・보호 종합대책」 발표
2014년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 제정
2014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아동학대 처벌법」) 제정
2014년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2015년
「제1차 아동정책 기본계획(2015년-2019년)」 수립
2015년
어린이 놀이헌장 선포
2015년
UN 개발정상회의에서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채택
2016년
아동권리헌장 제정
2016년
자유학기제 전면 실시
2017년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5개년) 수립
2018년
「온종일돌봄체계 구축・운영계획」 발표
2018년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18-2022) 수립·추진
2018년
「아동수당법」 제정
2018년
「아동학대 방지 보완대책」 발표
2019년
「포용국가 아동정책」 발표
2019년
아동권리보장원 공식 출범(중앙입양원, 아동자립지원단, 드림스타트사업지원단, 실종아동전문기관 통합)
2019년
아동수당지급 연령 확대(만 7세 미만 아동까지)
2019년
「공직선거법」 일부개정-선거권 연령 하향
2019년
어린이집 의무평가제
2020~2024년
제2차 아동정책기본계획(2020~2024) 수립
2020년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
2020년
아동권리보장원 2차 통합(디딤씨앗사업지원단,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20년
「아동·청소년 학대 방지 대책」 발표
2021 ~
2021년
제4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2020-2024년) 발표
2021년
민법의 징계권 조항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