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아동권리역사관

제1장 한국의 전통적 아동관: 전통과 근대의 만남 29 란 용어를, 백성과 아이, 자녀, 처자 등을 대상으로는 무육이란 용어가 훨씬 더 보편적인 용어였던 것이다. 유교에서도 인간존재를 우주적 존재로 보고 인간의 이상적 삶 을 우주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점에서 다른 전통사상들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유교는 동양의 전통사회에서 오랫동안 정치적 이데 올로기의 역할을 해오면서 초월적 입장보다는 현실적 입장을 취 하게 된다. 특히 조선 시대 들어와 성리학이 득세하면서 원시유 교의 사상과는 달리 훈육적인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동학은 시천주(侍天主), 사인여천(事⼈如天), 인내천(⼈乃天) 등의 이념을 주창한 사상으로 역시 인간 존재의 근원을 하늘에 두었다 는 점에서 전통사상의 맥을 잇고 있다. 천도교의 전신인 동학은 1860년 4월 5일 수운(⽔雲) 최제우(1824~1864)가 시천주의 교리 를 중심으로 창도하였다. 님(하느님)은 초월자이나 부모님같이 섬길 수 있는 인격적 존재이며, 동시에 사람은 누구나 나면서부 터 하느님을 모시고 있는 존재란 시천주 사상은 인간 존재의 근 원을 님으로 두었다. 수운의 제자였던 해월(海⽉) 최시형(1827~1898)은 동학의 2대 교주로 그는 스승인 수운의 시천주 사상을 이어받아 동학의 정신 을 체계화하였다. 그는 님을 모신다는 의미의 시천주 사상을 사람이 곧 님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발전시켰다. 즉, 인 간의 존엄성을 중시하여 모든 인간을 본질적으로 동등하고 평등 한 존재로 인식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는 이러한 가르침

RkJQdWJsaXNoZXIy MTU2Mjc2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