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아동권리역사관

참고문헌 125 한용진 (2014), “근대교육 개념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교육사상연구, 28」, 337~359. 홍은영 (2014), “Zum modernen Verstandnis von Kindheit aus histoirscher Perspektive”,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2), 123~145.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세종 : 교육부. 조 건 (2015), “미군정기 오천석의 교육정책 수립과 역사교육”, 「역사와 교육, 21」, 95~128. 강성훈 (2016), “조선왕조실록의 교수행위 관련 개념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2」(1), 165~182. 김종우, 주수산나 (2017), “Foucault의 통치성 관점을 통해 분석한 청소년 문제 담론의 변화”, 「상담학연구, 18」(2), 223~243. 법제처 (2018), 『법제처 70년사: 1948~2018』, 법제처. 이광호, 강주연 (2018), “한국 근대 청소년사업의 기원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2)─구한말(1876~1910)의 청년·소년 조직 활동과 개념의 등장을 중심으 로”, 「청소년학연구, 25」(9), 147~177. 이정진 (2018). “청소년의 정치참여 현황과 개선 과제”, 「이슈와 논점, 1466 호」, 국회입법조사처. 김민, 안동현 (2021), “어린이날 제정과 권리주체로서의 아동의 탄생”, 「대한민 국 아동권리 100년사 콜로키움(아동권리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2021. 5. 21. 아동권리보장원. Rousseau, J. J. (1942). Du contrat social . 김영욱 역 (2018), 『사회계약 론』, 서울: 후마니타스. Aries, P. (1962). Centuries of childhood: A social history of family life , Robert Baldick (by trans.), NY: Vintage Books. Greenleaf, B. K. (1978). Children through the ages , N.Y.: McGraw-Hill Book Company. Osborn, D. Keith. (1980).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historical perspective , 이형우 역 (1985), 『유아교육의 역사적 고찰』, 서울 : 정민사.

RkJQdWJsaXNoZXIy MTU2Mjc2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