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아동권리역사관

참고문헌 123 한국청소년개발원. 김동환 (2002), “일제 강점지 진학준비교육과 정책적 대응의 성격”, 「교육사회학 연구, 12」(3), 25~53. 교육인적자원부 (2002. 8. 21), “도시 저소득지역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지원확대”. 교육인적자원부. 박철희 (2002), 「식민지 시기 한국 중등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이기훈 (2002), “1920년대 어린이의 형성과 동화”, 「역사문제연구, 8」, 9~44. 조정호 (2002), 『무속 현지조사방법과 연구사례』, 서울 : 도서출판 민속원. 김형주, 김옥순, 김민, 송창석, 손의숙, 심한기 (2003), 「청소년참여와 권익증진 제도화 방안 조사·연구: 대통령 청소년특별회의 구성·운영을 중심으로」, 서 울 : 문화관광부,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김민 (2004), “새 시대의 청소년정책”,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편 (2004), 『새 시 대 청소년운동의 방향』, 서울 : 도서출판 청협. 김영지 (2004), 「청소년특별회의 의제 연구: 한국청소년의 오늘, 그리고 희망만 들기」, 서울 : 한국청소년개발원. 전성민 (2004), “청소년 관과 패러다임의 전환 모색”,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편 (,2004). 『새 시대 청소년운동의 방향』, 서울 : 도서출판 청협. 홍성태 (2004), “근대화과정에서 어린이는 어떻게 자라왔는가? : 한국사회에서의 어린이 담론의 변화”, 「당대비평 25」, 245~255. 교육인적자원부 (2006), 교육격차해소위원회 및 교육안전망 지원센터 설치추진계 획(안), 교육인적자원부. 김정의 (2006), 『한국소년운동론』, 서울 : 혜안. 이혜숙 (2006), “청소년 용어 사용 시기 탐색과 청소년 담론 변화를 통해 본 청 소년 규정방식”, 「아시아교육연구, 7」(1), 267~280. 이혜영, 김민, 양병찬 (2006),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가 정, 학교, 지역사회 연계협력 강화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주창윤 (2006), “1970년대 청년문화 세대담론의 정치학”, 「언론과 사회, 14」(3),

RkJQdWJsaXNoZXIy MTU2Mjc2NA==